생활경제
금 시세 변화 주목!
goldcar
2025. 2. 23. 09:51
728x90
반응형
지난 40년간 금 시세는 다양한 경제적, 정치적 요인에 따라 큰 변동을 겪어왔습니다. 아래는 주요 시기별 금 가격 변동과 그 배경을 정리한 내용입니다:
1. 1980년대: 금값의 급등과 하락
- 1980년 1월: 금 가격이 온스당 850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. 이는 1970년대의 높은 인플레이션과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금을 선호했기 때문입니다.
- 1980년대 중반: 인플레이션이 안정되고 미국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금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.
2. 1990년대: 등락을 반복하는 금 시세
- 1999년 8월: 금 가격이 온스당 251.70달러로 최저점을 기록했습니다. 이는 중앙은행들이 금 보유량을 줄이고, 금광업체들이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을 줄이기 위해 선물시장에서 금을 매도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습니다.
- 1999년 10월: 유럽 중앙은행들이 금 판매량을 제한하는 협정에 합의하면서 금 가격은 두 달 만에 온스당 338달러로 급등했습니다.
3. 2000년대 초반: 금 가격의 상승세
- 2003년 2월: 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으로 금 가격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
- 2005년 11월: 금 현물 가격이 온스당 5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. 이는 1987년 12월 이후 처음이었습니다.
4. 2006년~2011년: 금융위기와 금 가격의 급등
- 2008년 3월: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금융위기로 금 선물 가격이 처음으로 온스당 1,0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.
- 2011년 9월: 유럽 부채 위기와 미국 신용등급 강등 등의 영향으로 금 가격이 온스당 1,92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
5. 2012년~2015년: 금 가격의 조정기
- 2013년: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)의 양적완화 축소 발표로 금 가격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
- 2015년 12월: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금 가격이 온스당 1,050달러 선까지 하락했습니다.
6. 2016년~2020년: 다시 상승하는 금 시세
- 2016년: 브렉시트(Brexit) 국민투표와 미국 대선 등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금 가격이 상승했습니다.
- 2020년 8월: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으로 금 가격이 온스당 2,0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.
7. 2021년~2025년: 최근의 금 시세 동향
- 2022년~2023년: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과 지정학적 긴장으로 금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
- 2025년 2월: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조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금 선물 가격이 온스당 2,906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.
- 뉴스IS
이처럼 금 시세는 인플레이션, 통화 정책,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습니다.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금 투자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습니다.

728x90
반응형